본문 바로가기
한국첨단바른말고운말

뷔자데 뜻 과 의미(데자뷔 반대말인 이유)

by №℡ 2022. 9. 6.

데자뷔의 반대말은 무엇일까요?

최근 예능에서 유해진의 언급으로 화제가 된 데자뷔의 반대말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데자뷔

한 번도 경험한 일이 없는 상황이나 장면이 언제, 어디에선가 이미 경험한 것처럼 친숙하게 느껴지는 일.

데자뷔는 프랑스어로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위와 같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뷔자데

예능예능

매일 겪는 익숙한 일이 낯설게 느껴지는 현상을 이르는 말

그런데 뷔자데라는 단어가 데자뷔 반대말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저 단어는 데자뷔를 반대로 읽은 단어로 뜻 마저 데자뷔에 정 반대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실제로 프랑스 단어가 아닌 한국에서 지어낸 신조어입니다.

네이버 사전에도 등록되어 있는 사실이지만 이는 오픈사전으로 일종의 지식인과 같이 사전에 개인이 등록해놓은 단어라고 보면 됩니다.

'오늘 뭔가 낯설은데 이건 뷔자데인가?'

비록 만들어진 원리가 단순한 신조어이지만 뭔가 그 의미와 발음이 입에 착 달라붙으면서 한국에서는 데자뷔 반대말로 굳아지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