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첨단바른말고운말

연찬회 뜻 과 의미(변화된 연찬회 특징 4가지)

by №℡ 2022. 8. 27.

국민의힘이 연찬회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번 연찬회에 얼평 이슈, 음주 이슈와 함께 이준석 대표의 가처분 신청이 조건부 인용되는 판단과 주호영 비대위장의 직무정지까지 당했습니다.

정말 다사다난한 연찬회였던 것 같습니다.

때문에 연찬회라는 것에 관심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연찬회는 도대체 무슨 뜻일까요?

그리고 최근의 연찬회는 기존 연찬회의 성격과 많이 다르다고 합니다.

단체사진

연찬회

연찬은 한자로 硏(갈 연) 鑽(뚫을 찬) 의 단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연찬은 학문 따위를 깊이 연구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연찬회란 사전적 의미로는 '학문 따위를 깊이 연구하기 위하여 조직한 모임'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변화 된 연찬회

단체사진

앞서 설명한 것처럼 사전에는 연찬회(硏鑽會)를 '학문 따위를 깊이 연구하는 모임'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설명대로라면 연찬회는 소수의 학자들이 공통된 주제와 분야에 대한 연구정보를 교환하는 모임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그런데 요즈음 연찬회는 이러한 사전적 의미와는 매우 동떨어져 있으며 나름대로 몇 가지의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1) 규모가 크다
첫번째로 우선 규모가 크다는 점입니다. 이는 곧 전문가의 모임이 아니라는 것과 동일합니다. 전문가들만 모인다면 그 규모는 작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2) 일방적 진행 방법
두 번째는 주제 내용과 진행 방법이 일방적이라는 점 입니다. 즉 참석자들은 단상과 단하로 나누어집니다. 연찬회가 단상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의미있는 실적이 되는 반면 단하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지루함의 시간입니다. 진지한 소통과 토의 보다는 일방적인 지식 전달만 가능한 자리입니다.

3) 넓은 장소
세 번째는 장소입니다. 어떤 기관의 연찬회가 그 기관 내부의 시설을 사용하기보다는 외부의 리조트나 연수원과 같은 넓은 외부 시설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4) 목금 연찬회
학문의 연구에 정해진 요일이 어디있겠냐만은 최근의 연찬회는 주로 목요일과 금요일에 열립니다. 이름하여 목·금 연찬회입니다.

위와 같은 이유로 최근의 연찬회는 '연찬회'라는 단어보다는 '심포지엄'이나 '향연'과 같은 단어가 조금 더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