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준이 금리를 0.75% 인상하면서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하였다. 이에 한국은행도 빅스텝을 단행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금리가 급격히 오르면서 물가를 잡기 위한 각국의 노력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시간에는 자이언트스텝과 빅스텝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자세히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다.
- 자이언트스텝 이란?
- 빅스텝 이란?
자이언트스텝 이란?

금리를 한 꺼번에 0.75% 올리는 것.
경제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금리는 0.25%씩 올리는 것이 일반적이나, 인플레이션 등의 우려가 커질 때는 이보다 큰 폭으로 금리를 올리기도 한다.
2022년 4월 18일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연방은행 총재는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너무 높다”며 “기준금리를 연말까지 3.5%로 올려야 한다”고 말했다. 불러드 총재는 2022년해 미국의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 참석해 투표권을 행사하는 12명의 위원 중 한 명이다.
그는 “연내 3.5%에 도달하려면 올해 남아 있는 FOMC(6회) 때마다 50bp(빅 스텝)씩 기준금리를 올리면 되지만 필요하다면 한 번에 75bp 인상도 배제해선 안 된다”고 했다. Fed가 기준금리를 한 번에 75bp를 올린 것은 1994년 11월이 마지막이다.
살인적인 인플레이션을 잡으려면 ‘빅 스텝’을 넘어 ‘자이언트 스텝’으로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빅스텝 이란?
어학적으로는 "큰 발전" 혹은 "큰 도약"을 뜻하는 말이나 경제 분야에서는 금리를 한 번에 0.5% 포인트 올리는 것을 말한다.
통상적으로 금리 인상 폭은 0.25% 정도이나, 인플레이션 등의 이유로 큰 폭의 인상(jumbo-size rate rises)을 단행하기도 한다.
2022년 4월 미국 중앙은행(Fed) 내부에서 당해년 말까지 기준금리를 연 3.5%까지 올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연방은행 총재는 2022년 4월 7일(현지시간) “올해 미 기준금리를 3%포인트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미 기준금리는 ‘제로금리’를 가까스로 벗어난 연 0.25~0.50%다. 불러드 총재의 주장대로라면 올해 말 미 기준금리는 연 3.25~3.50%가 된다.
한 번에 금리를 0.5%포인트 올리는 빅스텝을 6회 연속으로 하자는 얘기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