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위소득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중위소득의 뜻과 연도별 중위소득 금액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중위소득이란?
- 연도별 중위소득
중위소득이란?
![](https://blog.kakaocdn.net/dn/c0XS78/btrHwlIKCaf/O9MHKIhkjGlfP8gvRuTUs1/img.jpg)
중위소득은 모든 가구를 소득 순으로 순위를 매겼을 때, 가운데를 차지한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대체적으로 중산층 가구 비중을 고려할 때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기준을 따르는 사례가 많습니다.
이에 따르면 중위소득의 50% 미만을 빈곤층, 50~150%를 중산층, 150% 초과를 상류층으로 분류하는 편입니다.
그밖에 기타 용어의 정의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기준 중위소득 : 보건복지부장관이 급여의 기준 등에 활용하기 위하여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20조 제2항에 따른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고시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위값
• 시장소득 : 근로소득, 사업소득, 부업소득, 재산소득, 사적 이전소득
• 가처분소득 : 시장소득 + 공적이전소득 - 직접세 및 사회보장세
연도별 중위 소득(표)
![](https://blog.kakaocdn.net/dn/cBwKOl/btrHCoYyQdH/3U1exko4OOlhJEmKP8dfP0/img.jpg)
2022년 기준 1인 가구 중위소득은 194만 4천 원 입니다. 해당 금액이 기준 중위소득 100% 금액 이며 여기서 절반 가경이 기준 중위소득 50%라고 말하는 금액이 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